들리는 말들이 심상치 않아 어느 정도 마음의 준비를 하고, 휴지까지 두둑하게 준비하고 들어갔다.
아니나 다를까. 중반 이후부터 끝장면까지 눈물이 멈추질 않더군.
영조도 울고 사도도 울고 세손도 울고 나도 울고...아무리 틀어막아도 슬픔이 목구멍을 비집고 나와 꺼이꺼이 꺽꺽...
부모가 자식을 버리고 자식이 부모를 찌르는 일이 결코 드문 시대가 아님에도, 아들을 죽이는 과정이 하루하루 세세하게 그려져서인지,
눈앞에서 '패륜'을 직접 목격하는 일이 감정적으로 참 견디기 힘든 일이라는 것을 비로소 깨달았달까.
대치동, 목동, 중계동, 제주 일도동...강남이 어디 서울뿐이랴. '너 잘 되라고'라는 미명 아래 벌어지는 뒤주 놀음이 하루 이틀 일이랴.
웬만한 현대극에 등장하는 강남 엄마들보다 더욱 더 현실적으로 징글징글한 극성 아빠, 영조.
송강호는 이제 연기 대통령, 연기의 신 이런 정도의 꾸밈어 따위는 집어치운, 그냥 귀신이더라. 연기하다 죽은 귀신.
결말 부분, 죽은 아들을 확인하러 돌계단을 한 단 한 단 힘겹게 내려오며 읊조리던 독백 장면은 영조 귀신이 씌었구나 싶을 정도였다.
클라이막스 부분의 '삑사리'마저도 철저하게 계산된 것 같은, 무시무시한 내공. 그야말로 소름 쫙.
노래를 듣거나 공연을 볼 때, 몇 년에 한 번씩 '접신'하는 기분에 사로잡힐 때가 있다.
밥 딜런 공연에서 그랬고, 얼마 전 이진아의 노래가 그러더니 송강호의 그 돌계단 연기에서 또 한 번 정신 몽롱해지는 접신 경험.
유아인의 연기 또한 익히 들리던 대로 귀신 씌인 송강호에 결코 뒤지지 않았고,
참으로 똑똑하고 영악하게, 그리하여 비장하고 아름답게 사도의 몫을 충실히 해냈다.
타고난 기질이 그래서일까, '베테랑'의 조태오같은 센 척하고 싸가지 없는 역보다는, '밀회'의 선재나 사도 같이 여리고 약하고 안쓰러운 역할에 딱이다, 딱.
눈빛 하나에 미친놈과 불쌍한 놈을 동시에 담을 수 있다니, 이거야말로 대 배우의 자질이 아닌가.
이준익 감독의 인터뷰를 찾아보니 사도를 두고 '비극의 아름다움'에 대해서 특히 강조했던데, 영화를 보는 내내 든 생각이 그거였다.
더럽게 끔찍하고 더럽게 치졸한 비극이지만, 감정의 바닥을 집요하게 파고 들어가 끝내 밑바닥을 보고 말았기에,
그 자체로 품격이 완성되었다는 느낌.
구구절절 주저리주저리 읊어봐야 다 필요없고, 아이를 낳을 거라면 다른 거 다 데쳐두고 그저 사랑만, 사랑으로만 키울지어다.
2015 최고의 영화를, '인사이드 아웃'이 '사도'에게 물려줘도 될 듯하다.
인간을 다룬 예술작품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은 '감정과 정서'라는 것을, 두 작품에서 새삼 깨닫는다.
'영혼의양식 > 볼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지금껏 본 적 없던 우주영화 <스테이션 7> (0) | 2018.01.05 |
---|---|
[영화] 별 하나의 시와 별 하나의 어머니, 그리고 동주와 몽규 (0) | 2016.02.25 |
[영화] <베테랑> 무대인사 (0) | 2015.09.14 |
[영화] 그리하여 다시 한 번, 친일파 척결! <암살> (0) | 2015.09.05 |
새롭게 가슴이 뛰다, 가장 일본적인 배우-사카이 마사토 (0) | 2015.04.20 |